거시공동은하
거시공동은하(영어: Void galaxy)는 거시 공동에 존재하는 은하이다.[1] 많은 은하들은 거시공동과 초공동을 둘러싸는 필라멘트와 장벽에 존재하지만 소수의 은하들은 거시공동 안에 존재한다.[2][3] 다수의 거시공동은하는 거시공동을 둘러싸는 보통의 은하 필라멘트보다 가벼운 거시공동 필라멘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필라멘트는 거시공동을 둘러싸고 있는 다른 필라멘트의 영향력 부족 때문에 다른 필라멘트보다 곧다.[4] 그리고 많은 부족은하군을 형성하기에 충분하다.[5] 거시공동은하 그 자체는 소수의 이웃 은하와 함께하고 있고, 순수한 은하간 가스로 형성되었을 것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거의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는 은하 진화의 예에 해당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6]
공동 은하 목록
[편집]Galaxy | Void | Filament | Notes | Comments |
---|---|---|---|---|
PC 1357+4641 | 목동자리 공동 | [7] | 방출선 은하 | |
IRAS 14288+5255 | 목동자리 공동 | [7] | AGN X-선 광원 | |
G 1432+5302 | 목동자리 공동 | [8] | 세이퍼트 은하 | |
G 1458+4944 | 목동자리 공동 | [8] | LINER | |
G 1507+4554 | 목동자리 공동 | [8] |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 | |
G 1510+4727A & G 1510+4727B | 목동자리 공동 | [8] | 상호작용 은하쌍 | |
BHI 1514+3819 | 목동자리 공동 | [7] | ||
FSS 1515+3823 | 목동자리 공동 | [7] | ||
G 1517+3949 | 목동자리 공동 | [8] |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 | |
G 1517+3956A & G 1517+3956B | 목동자리 공동 | [8] | 상호작용 은하쌍 | |
IRAS 15195+5050 | 목동자리 공동 | [7] | AGN X-선 광원 | |
Markarian 845 | 목동자리 공동 | [7] | 세이퍼트 1 X-선 광원 | |
CG 547 | 목동자리 공동 | [7] | 방출선 은하 | |
CG 637 | 목동자리 공동 | [7] | 방출선 은하 | |
CG 922 | 목동자리 공동 | [7] | 방출선 은하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van de Weygaert, Rien; et al. (2009년 12월 17일). “우주론적 암울함: 생명, 사회, 거시공동의 정체성”. arXiv:0912.3473. Bibcode:2009arXiv0912.3473V.
- ↑ Schmidt, K.-H.; Bohm, P.; Elsasser, H. (1997년 2월). “거시공동의 빈 정도에 관하여”. 《Astronomische Nachrichten》 318 (2). Bibcode:1997AN....318...81S.
- ↑ Kuhn, B.; Hopp, U.; Elsaesser, H. (1997년 2월). “거시공동에서의 희미한 은하에 대한 연구 결과”.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318. Bibcode:1997A&A...318..405K.
- ↑ Park, Daeseong; Jounghun Lee (2009년 12월). “거시공동 필라멘트의 다리 효과”. 《영국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400 (2). arXiv:0905.4277. Bibcode:2009MNRAS.400.1105P. doi:10.1111/j.1365-2966.2009.15524.x.
- ↑ "선택된 거시공동의 연구. 거시공동 0049+05의 방향에 있는 희미한 은하", G.T. Petrov, L. Slavcheva-Mihova, V. Kopchev, 2007년
- ↑ van de Weygaert, Rien; Erwin Platen (2009년 12월 16일). “우주의 빈터: 구조, 동역학, 은하”. arXiv:0912.2997. Bibcode:2009arXiv0912.2997V.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Detection of X-Ray Emission from Galaxies inside the Bootes Void", Chulhee Kim, Th. Boller, Kajal K. Ghosh, Douglas A. Swartz, Brian D. Ramsey, 'Volume 546, Number 2', 10 January 2001, doi:10.1086/318868
- ↑ 가 나 다 라 마 바 The Astronomical Journal, "Spectroscopy of Galaxies in the Bootes Void", Shawn Cruzen 1, Tara Wehr, Donna Weistrop, Ronald J. Angione, Charles Hoopes, 'Volume 123, Number 1', 2002 January, doi:10.1086/324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