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요배
![]() 姜堯培 | |
---|---|
신상정보 | |
출생 | 1952년 4월 18일 대한민국 제주도제주시 | (73세)
직업 | 화가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석사 |
분야 | 서양화 |
사조 | 리얼리즘 |
수상 | 민족미술상 (1998년) 이중섭미술상 (2015년) 옥관문화훈장 (2018년) |
주요 작품 | |
영향 |
강요배(1952년 4월 18일[1] ~ )는 제주 출신의 서양화가이다.
1980년대 초 미술그룹 <현실과 발언>의 동인으로 걸개그림 등을 처음 선보이면서 대중과 교감했던 그는 민중미술 운동의 1세대 작가다. 1992년 3월 '제주민중항쟁사-강요배의 역사그림전’은 한국 사회에 4·3의 실체를 바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리얼리즘 회화와 역사 주제화에서 새로운 지평을 펼쳐 보였다는 평가를 받는다.[2]
이후 제주에 정착하여 제주의 역사 체험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화폭에 담는데 진력하였다. 자연 풍광을 단순한 객체가 아니라 주체의 심적 변화를 읽는 또 다른 주체로 다루었다.[3]
시대와 역사에 충실하고 다기한 화풍의 변모를 감행했으면서도 따스하고 촉감적인 작가의 인물, 풍경화들은 지금도 대중에게 큰 사랑을 받고있다.[4]
학력
[편집]경력
[편집]- 1980년 ~ 1991년: '현실과 발언' 동인
- 1985년: 탐라미술협회 대표
- 2007년: 제12대 민족미술인협회 회장
상훈
[편집]- 1998년: 민족예술상 개인부문
- 2015년: 제27회 이중섭미술상
- 2018년 옥관문화훈장[5]
전시회
[편집]- 1976년: 각(角), 대호다방, 제주[6]
- 1995년: 섬 땅의 자연, 조현화랑, 부산
- 1994년: 제주의 자연, 학고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 1992년: 제주 민중항쟁사, 학고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단공갤러리, 대구
- 1998년: 4・3 50주년 기념-동백꽃 지다, 학고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송원갤러리, 광주; 가톨 릭센터, 부산; 월성문화관,
- 1999년: 금강산, 아트스페이스 서울, 서울
- 2003년: 강요배, 학고재, 서울
- 2006년: 땅에 스민 시간, 학고재, 서울
- 2006년: 강요배, 아트스페이스 씨, 제주
- 2007년: 섬 빛깔, 제주문예회관, 제주
- 2008년: 스침, 학고재, 서울
- 2008년: 제주4・3 평화기념관 개관기념 특별전: 강요배의 4・3역사화-동백꽃 지다, 제주4・3 평화기념관, 제주
- 2009년: 강요배의 습작시절, 제주교육박물관, 제주
- 2011년: 풍화,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 갤러리, 제주
- 2013년: 강요배, 학고재, 서울
- 2014년: 강요배 그림 <소나기> 원화전, "소년, 소녀를 만나다", 제라진 그림책갤러리, 제주
- 2014년: 강요배 소묘: 1985-2014, 학고재, 서울
- 2015년: 제27회 이중섭미술상 수상기념전, 소리,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 2016년: 제27회 이중섭미술상 수상작가 강요배 초대전, 시간의 창, 이중섭미술관, 제주
- 2016년: 한국현대미술작가, 강요배: 시간 속을 부는 바람,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 2018년: 메멘토, 동백, 학고재, 서울
- 2018년: 상(象)을 찾아서, 학고재, 서울
저술
[편집]- 1992년 "동백꽃 지다 (현대작가선 4)" (학고재)
- 1994년 "제주의 자연" (학고재)
- 1997년 황순원(소설가) 글 | 강요배 그림 "소나기" (길벗어린이)
- 1998년 "동백꽃 지다" (학고재)
- 2008년 "동백꽃 지다 (강요배가 그린 제주 4.3)" (보리)
각주
[편집]- ↑ 인물백과, 《강요배》,
다음
- ↑ 김유정 (2018년 3월 19일). “4·3의 응어리를 캔버스에 담다”. 《한겨레21》.
- ↑ 두산백과, 《강요배》,
네이버
- ↑ 노형석 (2016년 4월 19일). “4·3항쟁에 제주 풍광까지…50년 화업이 그려지네”. 《한겨레》.
- ↑ 김나영 (2018년 10월 18일). “제주 강요배, 옥관 문화훈장 수훈”. 《삼다일보》.
- ↑ 학고재, 《강요배 BIOGRAPHY》,
학고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