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군 (대한민국)

강서군 江西郡 | |
---|---|
군 | |
약칭 | 강서 |
로마자 표기 | Gangseo-gun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평안남도 |
행정 구역 | 14면 |
지방 관청 | 이북5도위원회 |
군수 | 신권호 |
지리 | |
면적 | 735.64km2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09:00) |
인문 | |
공용어 | 한국어 |
지역어 | 서북 방언 |
강서군(江西郡)은 대한민국 평안남도에 있는 대한민국의 군이다. 이북5도위원회가 관리하는 명목상의 행정 구역이다. 군청소재지는 강서면 덕흥리이다. 면적은 735.64km2이며, 14개 면, 160개 리로 편제되어 있다.
행정 구역
[편집]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강서면(江西面) | 45.69 | 9 | 덕흥(德興) 정화(靜和) 거장(巨庄) 암저(岩底) 현봉(賢鳳) 삼묘(三墓) 광향(廣鄕) 학천(鶴泉) 감전(監廛) |
동진면(東津面) | 51.72 | 14 | 기양(岐陽) 탄포(灘浦) 고일(古逸) 추죽(推竹) 신교(新橋) 덕봉(德鳳) 태성(台城) 다필(多必) 어은(於隱) 심정(心貞) 학송(鶴松) 청산(靑山) 용정(龍井) 석현(石峴) |
반석면(班石面) | 39.97 | 7 | 상사(上四) 하사(下四) 반삼 (班三) 반일(班一) 반오(班五) 반이(班二) 반육(班六) |
보림면(普林面) | 50.89 | 11 | 화학(和鶴) 서학(棲鶴) 관포(觀浦) 문천(聞天) 남삼(南三) 학남(鶴南) 유현(柳峴) 우산(羽山) 대화(大和) 간성(肝城) 광포(廣浦) |
성암면(城巖面) | 43.85 | 10 | 남양(南陽) 금산(金山) 대안(大安) 대정(大井) 차제(車堤) 영평(永平) 세죽(細竹) 죽마(竹馬) 주산(舟山) 입송(立松) |
성태면(星台面) | 86.43 | 14 | 원당(元塘) 태일(台一) 태사(台四) 성일(星一) 성이(星二) 성삼(星三) 성사(星四) 성오(星五) 성육(星六) 성칠(星七) 연곡(硯谷) 가장(可庄) 대마(大馬) 금송(金宋) |
수산면(水山面) | 58.46 | 13 | 오이(烏耳) 금천(金泉) 가생(可生) 가현(可峴) 신정(薪井) 가흥(佳興) 백운(白雲) 운북(雲北) 천도(千渡) 어경(於京) 고학(古鶴) 쌍송(雙松) 운남(雲南) |
신정면(新井面) | 12 | 구련(龜蓮) 후현(後縣) 신(新) 진사(進士) 탄현(炭峴) 이(二) 삼(三) 사(四) 연하(烟霞) 하청(河淸) 대흥(大興) 화산(花山) | |
쌍룡면(雙龍面) | 9 | 다족(多足) 기(基) 유명(柳明) 창포(菖蒲) 임성(林城) 봉오(鳳梧) 신경(新慶) 산경(山慶) 운포(雲浦) | |
잉차면(芿次面) | 32.23 | 8 | 오(五) 일(一) 이(二) 삼(三) 팔(八) 화석(花石) 조양(朝陽) 토산(兎山) |
적송면(赤松面) | 64.49 | 10 | 석삼(石三) 석일(石一) 석이(石二) 석사(石四) 석오(石五) 석육(石六) 석칠(石七) 청령(淸嶺) 삼부(三府) 곡신(殼新) |
증산면(甑山面) | 81.65 | 21 | 취룡(聚龍) 이안(利安) 사과(四科) 정양(正養) 화선(化善) 영천(靈泉) 오화(五和) 광제(廣濟) 용덕(龍德) 금탄(金炭) 무본(務本) 가풍(歌豊) 승영(升盈) 두만(斗滿) 정실(鼎實) 오명(杵鳴) 낙생(樂生) 오흥(吳興) 미회(美會) 반룡(蟠龍) 자봉(紫鳳) |
초리면(草里面) | 23.93 | 7 | 강선(降仙) 포(浦) 송호(松湖) 남호(南湖) 이로(伊老) 보봉(寶鳳) 사(沙) |
함종면(咸從面) | 22.84 | 15 | 함종(咸從) 홍범(洪範) 석교(石橋) 송경(松坰) 미석(美石) 계양(桂陽) 계산(鷄山) 안석(安石) 봉황(鳳凰) 달상(達上) 일중(一中) 고경(古京) 여오개(汝吾介) 범오(範五) 발산(鉢山) |
참고 문헌
[편집]- “평안남도 시군 소개”. 이북5도위원회.
- “평안남도 기구 및 정원”. 이북5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