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의 행정 구역

강릉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13행정동(39법정동), 146행정리(65법정리), 326통 2,656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릉시의 총 면적은 지난 1995년 강릉시와 명주군의 통합으로 1,040km2로 강원도 16,874.6km2의 약 6.1%를 차지하고 있다.[1] 인구는 2012년 2월 29일을 기준으로 217,986명, 90,891 세대이다.[2]

행정 구역

[편집]
읍면동 한자 면적(km2) 인구 세대
주문진읍 注文津邑 60.52 19,299 9,098
성산면 城山面 80.28 3,305 1,488
왕산면 王山面 245.28 1,682 881
구정면 邱井面 42.72 3,990 1,661
강동면 江東面 112.48 5,090 2,435
옥계면 玉溪面 148.83 4,452 2,039
사천면 沙川面 70.89 4,255 1,971
연곡면 連谷面 202.45 6,920 3,090
홍제동 洪濟洞 3.76 8,678 3,601
중앙동 中央洞 0.99 6,447 3,281
옥천동 玉泉洞 0.58 4,246 2,162
교1동 校1洞 2.73 29,995 11,122
교2동 校2洞 2.57 9,723 4,078
포남1동 浦南1洞 1.3 12,057 5,213
포남2동 浦南2洞 2.58 16,694 6,727
초당동 草堂洞 2.89 5,921 2,413
송정동 松亭洞 3.45 7,561 2,838
내곡동 內谷洞 4.96 11,970 5,066
강남동 江南洞 16.09 21,515 8,450
성덕동 城德洞 11.41 29,357 11,043
경포동 鏡浦洞 23.02 4,829 2,234
강릉시 江陵市 1,040 217,986 90,891

법정동·리

[편집]
읍·면·행정동 법정동·리
주문진읍 주문리(注文里), 교항리(橋項里), 장덕리(長德里), 삼교리(三橋里), 향호리(香湖里)
성산면 구산리(邱山里), 관음리(觀音里), 금산리(金山里), 위촌리(渭村里), 송암리(松岩里), 보광리(普光里), 어흘리(於屹里), 오봉리(五峰里), 산북리(山北里)
왕산면 도마리(都麻里), 목계리(木界里), 왕산리(旺山里), 고단리(高丹里), 송현리(松峴里), 대기리(大基里)
구정면 여찬리(余贊里), 학산리(鶴山里), 구정리(邱井里), 금광리(金光里), 어단리(於丹里), 덕현리(德峴里), 제비리(濟飛里)
강동면 상시동리(上詩洞里), 모전리(茅田里), 안인리(安仁里), 안인진리(安仁津里), 임곡리(林谷里), 하시동리(下詩洞里), 정동진리(正東津里), 심곡리(深谷里), 산성우리(山城隅里), 언별리(彦別里)
옥계면 현내리(縣內里), 천남리(川南里), 주수리(珠樹里), 도직리(道直里), 조산리(助山里), 남양리(南陽里), 북동리(北洞里), 낙풍리(樂豊里), 금진리(金津里), 산계리(山溪里)
사천면 미노리(美老里), 노동리(蘆洞里), 석교리(石橋里), 판교리(板橋里), 사천진리(沙川津里), 덕실리(德實里), 방동리(方洞里), 산대월리(山帶月里), 사기막리(沙器幕里)
연곡면 방내리(坊內里), 영진리(領津里), 동덕리(冬德里), 송림리(松林里), 행정리(杏亭里), 신왕리(新旺里), 유등리(柳等里), 삼산리(三山里), 퇴곡리(退谷里)
홍제동 홍제동(洪濟洞)
중앙동 금학동(錦鶴洞), 남문동(南門洞), 명주동(溟州洞), 성남동(城南洞), 성내동(城內洞), 용강동(龍岡洞), 임당동(林唐洞)
옥천동 옥천동(玉泉洞)
교1동 교동(校洞)
교2동
포남1동 포남동(浦南洞)
포남2동
초당동 초당동(草堂洞), 강문동(江門洞) (일부)
송정동 송정동(松亭洞), 견소동(見召洞)
내곡동 내곡동(內谷洞), 회산동(淮山洞)
강남동 노암동(魯岩洞), 담산동(淡山洞), 박월동(博月洞), 신석동(申石洞), 운산동(雲山洞), 월호평동(月呼坪洞), 유산동(幼山洞), 장현동(長峴洞)
성덕동 남항진동(南項津洞), 두산동(斗山洞), 병산동(柄山洞), 입암동(笠岩洞), 청량동(靑良洞), 학동(鶴洞)
경포동 강문동(江門洞) (일부), 난곡동(蘭谷洞), 대전동(大田洞), 안현동(雁峴洞), 운정동(雲亭洞), 유천동(楡川洞), 저동(苧洞), 죽헌동(竹軒洞), 지변동(池邊洞)

역사

[편집]
  • 1906년 강릉군 관할. 임계·도암면이 정선군으로, 진부·봉평·대화면을 평창군으로, 내면이 인제군으로 각각 이관함.
  • 1914년 4월 1일 북1리면, 북2리면, 남1리면을 합쳐 군내면(郡內面)으로, 남2리면을 성남면(城南面)으로, 가남면을 하남면으로 개편[3]
13면 - 군내면, 덕방면, 성남면, 자가곡면, 정동면, 사천면, 상구정면, 하구정면, 성산면, 연곡면, 신리면, 옥계면, 망상면
  • 1916년 10월 1일 군내면을 강릉면으로, 자가곡면을 강동면으로 개칭하였다.
  • 1917년 11월 1일 상구정면을 왕산면으로, 하구정면을 구정면으로 개칭하였다.
  • 1920년 11월 1일 성남면, 덕방면을 성덕면으로 합면하고, 성남면에서 나뉜 일부를 정동면에 편입 (12면)
  • 1931년 4월 1일 강릉면을 강릉읍으로 승격하였다.[4] (1읍 11면)
  • 1937년 4월 1일 신리면을 주문진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8년 9월 1일 정동면을 경포면으로 개칭하였다.
  • 1940년 11월 1일 주문진면을 주문진읍으로 승격하였다.[5] (2읍 10면)
  • 1942년 10월 1일 망상면을 묵호읍으로 승격하였다.[6] (3읍 9면)
  • 1945년 양양군 현남면과 현북면, 서면 일부를 강릉군으로 편입
  • 1954년 법률 제350호로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시행에 따라 현북면과 서면을 양양군에 편입 (3읍 10면)
  • 1955년 9월 1일 강릉읍 등을 강릉시로 승격하고,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개칭하였다.[7] (2읍 8면)
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강릉군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 강릉시 일원
강릉군 주문진읍, 묵호읍, 성산면, 왕산면, 구정면, 강동면, 옥계면, 사천면, 연곡면, 현남면 명주군 일원
  • 1963년 1월 1일 현남면이 현 양양군에 편입 (2읍 7면)
  • 1965년 4월 옥포동을 옥천동과 포남동으로, 입암동을 두산동으로 분동하였다.
  • 1973년 7월 1일 왕산면 남곡리, 구절리가 정선군 북면으로 편입됨[8]
  • 1980년 4월 1일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을 합쳐 동해시로 승격 (1읍 7면)
  • 1983년 2월 15일 구정면 언별리가 강동면으로, 산북리가 성산면으로 편입되었다.[9]
  • 1983년 10월 1일 남문동과 성남동을 중앙동으로 합동하고, 교동을 교1동과 교2동으로 분동하였다.
  • 1989년 1월 1일 강동면 운산리를 월호평동으로 편입하였다.
  • 1995년 1월 1일 강릉시 일원과 명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강릉시가 설치되었다.[10]
  • 1995년 3월 2일 포남동을 포남1동과 포남2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8년 10월 1일 중앙동과 임당동을 중앙동으로, 장현·노암·월호평동을 강남동으로, 입암동과 두산동을 성덕동으로, 유천·죽헌·운정·저동을 경포동으로 합동하였다.

각주

[편집]
  1. 2011년 9월 30일 기준
  2. 월별 주민등록 인구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4월 17일 확인
  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4.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5.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년 10월 23일)
  6.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년 9월 30일)
  7. 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1955년 8월 13일)
  8.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9.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10.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외부 링크

[편집]